김안나 개인전 – 산수몽 山水夢
Anna Kim solo exhibition – Mountain-Water-Dream (山水夢)

전시 소개

About Exhibition

2025 서울시청 미디어아트 기획전시



김안나 개인전

《산수몽 (山水夢)》

2025. 10. 01 – 12. 31

서울시청 본관 1층 서울림(林) 미디어월



상영시간

(주중) 오전 8시 — 오후 7시 상영시간

(주말) 오전 9시 — 오후 6시

매시각 정시 및 30분(8분)

2025 Seoul City Hall Media Art Exhibition



Anna Kim solo exhibition

Mountain-Water-Dream (山水夢)

October 1 – December 31 2025

Seoul City Hall 1F Seoul-lim (林) Media wall



Screening Hours

(Weekdays) 8am — 7pm

(Weekends) 9am — 6pm

Every hour and half hour(8 minutes)

작가 소개

Artist Biography

김안나 작가는 UCLA 학사, UCI 석사를 마친후 경북대학교에서 디지털미디어아트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작가는 주로 기술을 통해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을 탐구해오고 있다. 그녀의 작업은 환경적·사회적 현상을 관찰하며 그 속에서 예술적 가능성을 모색하고, 이를 디지털 스토리텔링과 시뮬레이션적 실천으로 구현한다. 그녀의 창작은 대안적 내러티브에 주목하며, 다양한 기술을 전복적이고 비판적인 방식으로 활용하여 미래를 향한 새로운 궤적을 탐구한다.



주요 전시로는 광주미디어아트플랫폼에서 열린 〈디지털 레조넌스〉(2022), 에스팩토리에서 개최된 〈서울융합예술페스티벌 Unfold X〉(2022), 부산현대미술관의 〈지속가능한 미술관: 예술과 환경〉(2021), 문화비축기지에서 열린 오픈미디어아트페스티벌 〈블랙 스완: 예측 불가능한 미래〉(2020), 토탈미술관의 〈미디어 아나토미〉(2020) 등이 있다. 작가는 현재 Los Angeles에 있는 Loyola Marymount University에서 멀티미디어아트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Anna Kim received her B.A. from UCLA, her M.F.A. from UCI, and her Ph.D. in Digital Media Art from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er practice primarily explores the interaction between humans and the environment through technology. By observing environmental and social phenomena, she investigates artistic possibilities and translates them into digital storytelling and simulative practices. Her creative work focuses on alternative narratives, employing diverse technologies in subversive and critical ways to envision new trajectories for the future.



Her major exhibitions include Digital Resonance at the Gwangju Media Art Platform (2022), Seoul Convergence Art Festival: Unfold X at S Factory (2022), Sustainable Museum: Art and Environment at the Busan Museum of Contemporary Art (2021), the Open Media Art Festival Black Swan: Unpredictable Future at Oil Tank Culture Park (2020), and Media Anatomy at the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2020). She is currently an Assistant Professor of Multimedia Art at Loyola Marymount University in Los Angeles.

<산수몽>

증강현실, 3D 애니메이션, 모션그래픽, 8분, 2025

Mountain-Water-Dream

Augmented Reality, 3D Animation, Motion Graphics, 8’ 00”, 2025

작품 설명

Work Description

<산수몽 (山水夢)>은 조선시대 화가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를 모티프로 삼아, 전통적 산수의 감수성과 디지털 시대의 미학을 교차시켜 새롭게 구축한 작품이다. 정선의 산수화가 당대 한국 생태계의 풍경을 담아낸 기록이었다면, 이 작업은 멸종 및 멸종위기 종들을 위한 가상의 안식처를 창조하며, 사라진 자연을 오늘날의 기술 속에서 다시 숨 쉬게 한다.



작가는 전통 산수의 시적 정서와 현대적 시각 언어를 혼합하여, 2D와 3D가 교차하는 공간에 사라진 생명들을 소환한다. 관객 참여형 증강현실(AR) 기술은 이러한 풍경을 확장시키며, 과거와 현재, 현실과 가상이 겹쳐지는 혼합현실(Mixed Reality) 의 장을 만들어낸다.



서울시청 미디어월 <서울림>에서 소개되는《산수몽》은 예술과 기술, 자연과 인공, 기억과 미래가 공존하는 새로운 시공간을 제안한다. 관람객은 QR코드를 통해 작품 속 동물들과 상호작용하며 그들의 서사를 발견하고, 잃어버린 자연 유산과 다시 마주한다.



<산수몽>은 사라진 생명들을 디지털의 꿈으로 소환하면서, 우리가 잃어버린 것들과 앞으로 지향해야 할 생태적 상상력을 시적으로 탐구한다. 이는 기억의 회복과 공존의 가능성을 오늘날의 기술을 통해 다시 묻는 시도이기도 하다.

Mountain-Water–Dream (山水夢) takes inspiration from the Jingyung (“true-view”) landscapes of Joseon-era painter Gyeomjae Jeong Seon, weaving together the sensibility of traditional Korean landscape painting with the aesthetics of the digital age. Whereas Jeong’s paintings captured the ecological scenes of his time, this work creates a virtual sanctuary for endangered and extinct species, allowing lost natures to breathe again through contemporary technology.



Blending the poetic ethos of classical sansu with contemporary visual languages, the artist summons vanished lives within a space where 2D and 3D imagery intersect. Audience-participatory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y further expands this landscape, constructing a field of mixed reality in which past and present, the real and the virtual, overlap.



Presented on the Seoul City Hall Media Wall , Mountain-Water–Dream proposes a new time-space where art and technology, nature and the artificial, memory and future coexist. Through QR codes, viewers can interact with the animals within the work, awaken them, and uncover their stories, encountering once-lost natural heritages anew.



By calling extinct beings into a digital dream, Mountain-Water–Dream poetically explores ecological imagination as both remembrance and orientation toward the future. It is an inquiry into how recovery and coexistence might be reconsidered through the lens of today’s technology.

작가 인터뷰

Inter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