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발치
변유열
천예지
Munbalchi
Byeon Yuyeol
Nezy Cheun
2025. 7. 1 – 9. 30
서울시청본관 1층 서울림(林) 미디어월
2025. 7. 1 – 9. 30
Seoul City Hall 1F Seoul-lim (林) Media wall
서울은 끊임없이 진화하고 변화하는 도시입니다. 역사와 기술, 전통과 상상이 중첩된 이 도시의 풍경은, 언제나 현재와 미래를 가로지르는 다층적인 시간 속에 존재합니다. <상상도시 서울: 우주로 향하는 미래>는 이러한 서울의 다면적인 성격에 ‘우주’라는 상상적 차원을 더해, 우리가 아직 도달하지 않은 서울의 또 다른 가능성을 탐색합니다.
이번 전시는 미래 도시, 초연결 메트로폴리스, 데이터 풍경, 네오-한양, AI 서울, 모빌리티 오디세이 등 다양한 키워드를 중심으로 아직 도래하지 않은 서울을 재해석합니다. 참여 작가들은 그래픽, 애니메이션, 비디오, 제너레이티브 아트 등 디지털 기반의 미디어 작업을 통해, 현실과 가상을 교차시키며 미래 서울의 가능성과 풍경을 시각화합니다.
서울의 시간은 단선적으로 흐르지 않습니다. 점점 진화하는 기술을 통해 상상과 현실이 복합적으로 얽힌 이 도시는 끊임없이 새로운 차원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상상도시 서울: 우주로 향하는 미래>는 이러한 다층적 시간성과 잠재된 가능성의 층위를 따라가며, 익숙한 도시를 다시 마주하고 낯선 가능성을 상상하는 감각의 전환을 제안합니다.
Seoul is a city in constant transformation, where history and technology, tradition and imagination intersect in complex ways. The landscape of the city is layered with time, stretching between the present and the future. Imaginary City Seoul: Toward the Cosmos adds a speculative dimension to this multifaceted identity by introducing “space” as a metaphor and direction, inviting us to imagine Seoul as a city yet to be fully realized.
The exhibition reinterprets Seoul through key concepts such as future urbanism, hyper-connected metropolises, data-driven landscapes, Neo-Hanyang, AI-integrated Seoul, and mobility odysseys. The participating artists use digital media, including graphics, animation, video, and generative art to imagine future landscapes of Seoul, where reality and virtuality come together.
Seoul’s sense of time unfolds in layers rather than straight lines. Through ever-evolving technologies, imagination and reality are intricately woven into the city’s fabric, continuously expanding it into new dimensions. This exhibition follows those layers of potential and complexity, offering a shift in perception: an opportunity to encounter the familiar city in unfamiliar ways, and to envision new futures rooted in both tradition and transformation.
먼발치는 공간과 가상, 전통과 미래를 넘나들며 다양한 매체로 감각과 서사를 탐구하는 아티스트 콜렉티브다.
김주호는 사라지는 장소와 시간, 기억의 잔흔을 되짚으며, 단절된 것들을 다시 잇는 설치, 영상, 조각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버려진 건물이나 해체되는 공동체와 같은 대상을 매개로, 과거의 감각과 현재의 시간을 겹쳐낸다. 틈 사이를 메우고, 사라진 장소를 거닐며, 정지한 물체에 움직임을 부여하는 그의 작업은 한순간의 포착이 아니라 과거 사건에 연속성을 부여하려는 시도이다. 끊어진 존재들을 다시 잇고자 하는 예술적 태도는 그의 작업 전반을 관통하는 중심축이다.
김도은은 전통과 미래, 현실과 가상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서사를 구축하는 미디어 아티스트다. 가상현실은 작가에게 사회적 억압이나 소외된 감정, 감춰진 질문들을 서사화할 수 있는 도구다. 현실에서는 발화되지 못한 감각들이 가상 공간 안에서는 오히려 선명히 드러난다는 점에서 가상은 일종의 철학적 실험장이 된다. 작가는 3D 그래픽, 메타휴먼 캐릭터, 전통적 이미지를 혼합해 현실과 가상의 경계를 넘나들며 작업한다.
Munbalchi is an artist collective that explores perception and narrative through various media, navigating the boundaries between physical and virtual space, tradition and the future.
Juho Kim works with installations, video, and sculpture to reconnect fragmented memories, places, and timelines. His practice draws on abandoned buildings and dismantled communities, layering past sensations over the present moment. Rather than capturing isolated moments, his work seeks to restore a sense of continuity to events and spaces that have faded or disappeared. By animating still objects and walking through forgotten sites, he gives form to what has been lost. At the core of his practice is an enduring desire to reconnect what has been broken.
Doeun Kim is a media artist who constructs narratives at the intersection of tradition and the future, reality and virtuality. For her, virtual reality is a means of expressing social repression, marginalized emotions, and hidden questions. In these digital spaces, unspoken feelings find clarity and form, turning the virtual into a philosophical testing ground. Her work blends 3D graphics, Metahuman characters, and traditional imagery, moving fluidly between the real and the virtual.
-
<Vertical Horizon: Seoul>, 싱글채널 비디오, 3분, 2025Vertical Horizon: Seoul, single-channel video, 3min, 2025 -
<Vertical Horizon: Seoul>, 싱글채널 비디오, 3분, 2025Vertical Horizon: Seoul, single-channel video, 3min, 2025 -
<Vertical Horizon: Seoul>, 싱글채널 비디오, 3분, 2025Vertical Horizon: Seoul, single-channel video, 3min, 2025 -
<Vertical Horizon: Seoul>, 싱글채널 비디오, 3분, 2025Vertical Horizon: Seoul, single-channel video, 3min, 2025 -
<Vertical Horizon: Seoul>, 싱글채널 비디오, 3분, 2025Vertical Horizon: Seoul, single-channel video, 3min, 2025
<Vertical Horizon: Seoul>은 타임랩스와 수직과 수평의 화면 구성을 통해 과거부터 현재, 상상 속 미래까지 이어지는 서울의 시간과 공간을 하나의 흐름으로 시각화한다. 시대를 초월해 공존하는 건축물과 풍경은 서울이 축적해 온 유산 위에 쌓이는 상상의 미래, 곧 ‘우주 서울’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화면은 수평에서 수직으로 확장되며 마천루와 공중 모빌리티가 등장하고, 이는 미래 서울의 도시 구조와 고양감을 표현한다. 이 작품은 기술적으로 언리얼 엔진을 기반으로 시공간이 중첩된 도시 서울을 입체적으로 구현했다.
Vertical Horizon: Seoul presents the flow of Seoul’s time and space, from its past and present to an imagined future: through time-lapse imagery and a dynamic interplay of vertical and horizontal compositions. Coexisting architectures and landscapes across eras reveal the city’s accumulated legacy and envision a speculative future layered upon it: the possibility of a “Cosmic Seoul.” As the frame shifts from horizontal to vertical, skyscrapers and aerial mobility emerge, evoking both the structural and emotional elevation of a futuristic city. Using Unreal Engine, the work brings to life a multi-layered vision of Seoul, where time and space intersect in a complex, immersive urban landscape.
변유열은 현대의 복잡한 디지털 환경 속에서 창발되는 개념의 다층적 해석에 주목한다. A.I.와 컴퓨터 그래픽스 기술, 게임 엔진 등을 이용하여 미디어 파사드, 오디오-비주얼, 인터랙티브 인스톨레이션, 디지털 페인팅 작업을 하고 있다. 2024 서울라이트광화문, 아뜰리에 광화 미디어파사드 공모에서 은상, 제 1회 이탈리아 발터-페라도 국제작곡콩쿨에서 2위를 수상한 바 있다.
Byeon Yuyeol explores the multilayered meanings that emerge within today’s complex digital landscape. Employing A.I., computer-graphics techniques, and game-engine technology, he creates media-façade works, audio-visual pieces, interactive installations, and digital paintings. His accolades include the Silver Prize at the 2024 Seoul Light Gwanghwamun – Atelier Gwanghwa Media Façade Competition and Second Prize at the inaugural Walter-Ferrado International Composition Competition in Italy.
-
<열린회로>, 제너레이티브 영상, 2025Seoul: Open Circuit, Generative video, 2025 -
<열린회로>, 제너레이티브 영상, 2025Seoul: Open Circuit, Generative video, 2025 -
<열린회로>, 제너레이티브 영상, 2025Seoul: Open Circuit, Generative video, 2025
<서울 열린회로>는 서울이라는 도시를 첨단 회로 및 데이터 기반의 복합적인 프랙탈 알고리즘으로 재구성한 미디어 파사드 작품이다 본 작품은 서울의 건축물 교통망 인구 이동 데이터를 디지털 프랙탈 구조로 전환하여 도시를 닫힌 구조가 아닌 개방적이고 확장 가능한 네트워크로 표현한다.
특히 서울의 고궁에서 볼 수 있는 전통적 단청의 화려한 색상과 패턴을 현대적인 네온 색감과 병치하여 서울이 지닌 전통과 현대의 융합적 정체성을 강조한다. 이러한 시각적 구성은 서울의 개방성, 무한한 확장성 그리고 초연결성을 드러내며 관객은 이를 통해 서울이라는 도시가 미래 지향적인 AI와 데이터 네트워크가 통합된 초연결 메트로폴리스 임을 감각적으로 체험한다.
현대 도시 서울은 물리적 인프라와 디지털 네트워크가 긴밀히 연결된 거대한 유기적 시스템이다. 본 작품은 이 같은 도시의 특성을 데이터와 프랙탈 알고리즘을 통해 시각화함으로써 초연결 메트로폴리스 서울이 지닌 미래적 가능성을 탐구한다.
열린 회로의 개념을 도입하여 도시를 닫힌 시스템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진화하고 개방된 네트워크로 바라보게 한다 작품은 서울의 도시 데이터가 지닌 특성을 시각적으로 재구성한 것으로 사람 기술 데이터가 긴밀히 상호작용하며 끊임없이 확장되는 도시의 생태계를 표현한다. 이를 통해 관객들은 서울이라는 도시를 보다 깊이 있는 미래적 시각에서 바라보며 도시와 기술의 유기적 공존과 지속 가능한 발전 가능성을 직접 경험하게 될 것이다.
*이 영상은 기술적으로 언리얼엔진 내에서 프랙탈 알고리즘을 적용한 제너레이티브 영상입니다.
Seoul: Open Circuit is a media façade work that reimagines the city of Seoul through complex fractal algorithms based on its advanced networks and data systems. Using real-time urban data—such as architectural structures, transportation routes, and patterns of human movement—the work transforms Seoul into an open, expandable network rather than a closed structure.
The visual composition contrasts the vibrant colors and patterns of traditional dancheong (ornamental painting found in historic palaces) with modern neon aesthetics, highlighting the city’s unique fusion of tradition and innovation. Through this dynamic imagery, the work expresses Seoul’s openness, infinite scalability, and hyperconnectivity—allowing viewers to sensorially experience the city as a futuristic AI-integrated, data-driven metropolis.
Seoul today functions as a massive organic system where physical infrastructure and digital networks are closely intertwined. By visualizing this condition through data and fractal-based algorithms, the work explores the future potential of Seoul as a hyperconnected urban ecosystem.
Introducing the concept of an “open circuit,” the artwork positions the city not as a closed system, but as one that is continually evolving—an open and fluid network. It presents an urban landscape where people, technology, and data constantly interact and expand, forming a living system in continuous transformation. Through this lens, viewers are invited to reflect on the deeper possibilities of Seoul’s future—where the organic coexistence of technology and urban life suggests a new path toward sustainable growth.
*The video is a generative piece created using fractal algorithms developed within Unreal Engine.
천예지는 회화, 영상, 인터랙티브 미디어, 설치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해 존재, 관계, 기술, 환경, 지각 방식에 대해 질문한다. 그는 기술을 조형 언어로 끌어들이며, 인식과 감각, 물질과 비물질 사이의 전환에 주목하고, 인간·환경·기술의 관계성을 사유한다.
Nezy Cheun explores themes of existence, relationships, technology, and perception through a variety of media, including painting, video, interactive works, and installation. Her practice incorporates technology as a sculptural language, focusing on the transitions between perception and sensation, the material and the immaterial, while contemplating the interconnectedness of humans, environments, and technological systems.
-
<X-서울>, 3D 모델링 애니메이션, 2분 55초, 2025X-Seoul, 3D Modelling animation, 2' 55", 2025 -
<X-서울>, 3D 모델링 애니메이션, 2분 55초, 2025X-Seoul, 3D Modelling animation, 2' 55", 2025 -
<X-서울>, 3D 모델링 애니메이션, 2분 55초, 2025X-Seoul, 3D Modelling animation, 2' 55", 2025
<X-서울>은 서울을 미래적 상상으로 재해석한 영상 작업이다. 전체 이미지는 엑스레이처럼 드러난 구조적 선들로 구성되며, 흑백의 강렬한 대비 속에서 도시의 형태는 해체되고 다시 조립된 듯한 모습으로 제시된다.
이 세계를 순회하는 날개 달린 생명체들은 데이터 흐름처럼 공간을 유영하고, 식물 형태의 유기체들은 도시에 스며든 생태계의 일부로 존재한다. 이들은 건축과 기술, 기억과 생명, 도시와 자연의 경계를 넘나들며 유기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끊임없이 재구성되는 도시의 감각을 드러낸다.
<X-서울>은 서울의 풍경을 익숙하면서도 낯설게 전환시키며, 감상자로 하여금 생태와 기술이 교차하는 감각적 미래 도시를 상상하게 한다. 이 작품은 3D 모델링과 와이어프레임 기술을 활용하여 제작되었다.
X-Seoul is a video work that reimagines the city of Seoul through a futuristic lens. The imagery consists of structural lines reminiscent of X-ray scans, presenting a cityscape that appears both deconstructed and reassembled in stark black-and-white contrast.
Winged entities traverse the space like data streams, while plant-like organisms embody an urban ecosystem subtly embedded in the city’s fabric. These beings cross the boundaries of architecture and technology, memory and life, city and nature—forming an organic network that reveals the ever-evolving sensory experience of the metropolis.
By rendering Seoul both familiar and strange, X-Seoul invites viewers to envision a speculative city where ecology and technology converge. The work was created using 3D modeling and wireframe animation techniques.